본문 바로가기

Global K- Stars

한국은 문화 초 강대국 이다. (Korea , A cultural superpower.)

Stony Brook University에서 금융학과 조교수였고, 현재 블룸버그통신의 칼럼니스트인 Noah Smith의 

10월 28일 “Noahpinion"에 올라온 무엇이 문화적 초강대국을 만드는가?라는 칼럼을 번역 소개합니다.

 

What makes a cultural superpower?

South Korea's rise signals the end of the Age of Empire, and the beginning of the Age of Cultural Empire

무엇이 문화적 초강대국을 만드는가?
한국의 부상은 제국시대가 끝나고 문화제국시대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The hit Netflix show Squid Game — the most-watched program in the platform’s history — once again has everyone talking about the amazing success of South Korea’s cultural exports. Two years ago it was the movie Parasite. And the massive appeal of K-pop is now one of the most-discussed phenomena in entertainment, with BTS becoming an international sensation comparable in some ways to the Beatles, and K-pop fandoms in the U.S. becoming so big and organized that they’re now politically relevant. Meanwhile, Korean cosmetics are doing huge business in America, with sales quadrupling between 2016 and 2018 alone; the “K-beauty” industry is forecast to be raking in $31 billion worldwide by 2029. And though they haven’t yet caught on huge in the U.S., Korean romantic dramas have been a global phenomenon for a while now.

 

 

플랫폼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된 프로그램인 넷플릭스 쇼 오징어 게임은 다시 한번 모든 사람들이 한국의 문화 수출의 놀라운 성공에 대해 이야기하게 만들었다. 2년 전 그것은 영화 기생충이었다. 그리고 케이팝의 엄청난 매력은 현재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는 현상 중 하나이며, 방탄소년단은 어떤 면에서는 비틀스에 버금가는 국제적인 센세이션이 되었고, 미국의 케이팝 팬덤은 너무 크고 조직화되어 현재 정치적으로 관련성이 있다. 한편, 한국 화장품은 2016년과 2018년 사이에만 매출이 4배 증가하며 미국에서 큰 사업을 하고 있다; "K-뷰티" 산업은 2029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310억 달러를 긁어모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비록 그들이 아직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지만, 한국 로맨스 드라마는 한동안 세계적인 현상이 되어왔다.

 

As I see it, this qualifies South Korea for the title of “cultural superpower”. There’s no hard-and-fast definition for this term, of course. We might try to create some metric — cultural exports per capita, perhaps weighted by the number of export markets with significant penetration — but in South Korea’s case, we know it when we see it.

There are a lot of interesting questions surrounding this phenomenon. The main one, of course, is “Why do people like South Korean stuff so much?” A lot of ink has been spilled over this, and I don’t really know enough to weigh in. But there is one interesting thing I’ve noticed, which is that South Korea is among the first countries — perhaps the first country — to become a modern cultural superpower without having had an empire in the last 500 years

 

 

내가볼때, 한국이 '문화 초강대국'이라는 칭호를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물론 이 용어에는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습니다.

1인당 문화적 수출은 수출시장의 수에 따라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를 보면 우리는 알수있습니다.

이 현상을 둘러싼 흥미로운 질문이 많습니다. 물론 주요 한 가지는 '왜 한국을 좋아하는 사람이 그렇게 많은가?'입니다. 이것 때문에 잉크가 많이 흘렀는데(글을 많이 썼다는...), 저도 헤아릴 만큼 잘 모르겠어요.

그러나 제가 주목한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한국이 지난 500년 동안 제국을 갖지 않고 현대 문화 초강대국이 된 첫 번째 나라들 중 하나라는 것입니다.

 

Culture and empire

The U.S., Britain, Japan and France export lots of cultural products and have strong mindshares around the world. But all of these countries have a history of conquest and military might. The U.S. perhaps least so — our overseas wars and string of overseas bases are not really an empire in the sense that Britain or France was — but enough people say that “America is an empire” that it’s clear that many people think of it in a similar way. It’s easy to imagine that these countries’ international cultural appeal is connected, in some sense, to the sense that these are, or were, mighty and powerful countries. That is a fundamentally nationalistic way of thinking — it implicitly sees the world as a competition between nations in which great nations conquer and lesser ones are conquered. It seems possible that this vision of the world is lurking in the back of many people’s minds when they consume Hollywood movies or British fantasy novels or Japanese cartoons or French perfume.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문화상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강한 소비자 인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나라들은 모두 정복의 역사와 군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아마도 적어도 그럴 것이다 - 우리의 해외 전쟁과 일련의 해외 기지들은 영국이나 프랑스가 그랬다는 점에서 실제로 제국이 아니다 -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미국은 제국이다"라고 말할 만큼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국가들의 국제적인 문화적 매력이 어떤 의미에서는 강대국 혹은 강대국이었다는 의미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쉽게 상상할 수 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국수주의적 사고방식이다. 그것은 암묵적으로 위대한 나라가 정복하고 작은 나라가 정복되는 국가 사이의 경쟁으로 세계를 본다. 할리우드 영화나 영국 판타지 소설, 일본 만화, 프랑스 향수를 소비할 때 이 세상의 비전이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숨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But not South Korea. Korea has always been a small country (or set of countries) surrounded by bigger countries, which often invaded it — a “shrimp among whales”, as the saying goes. It has never been on anyone’s list of the most martially powerful civilizations. And yet, people love K-pop and K-dramas and K-beauty and K-everything. Not many other countries have accomplished that. The closest examples might be Italy (which is a powerhouse in the global fashion industry but whose colonial empire was barely deserving of the name), Jamaica (whose music is highly influential), India (which has had some success with Bollywood exports to developing countries), and maybe Hong Kong (which was a British colony when it created its internationally recognized film industry).

 

 

그러나 한국은 아닙니다. 한국은 항상 더 큰 나라로 둘러싸인 작은 나라(또는 국가)였으며, 종종 침략하는 "고래 들 사이 새우"라고 속담처럼 말합니다. 군사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문명 목록에 오른 적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K팝과 K드라마, K-뷰티, K-everything을 좋아한다. 많은 다른 나라들이 그것을 성취하지 못했습니다. 가장 가까운 예는 이탈리아(세계 패션 산업의 강국이지만 식민지 제국이 그 이름을 가질 자격이 거의 없었던), 자메이카(음악이 매우 영향력 있는 나라), 인도(발리우드 수출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개발도상국), 그리고 아마도 홍콩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영화 산업을 만들 때 영국 식민지) 일 수 있습니다.

 

 

So does this mean that the “cultural appeal comes from imperial prowess” theory is just wrong? Perhaps! Another possibility is that it used to be more right than it is now. After World War 2 and the advent of nuclear weapons, the norm of fixed international borders became generally accepted and entrenched; conquest still happens, but it’s rare and frowned upon now, and there have basically been no new empires created in recent decades. Perhaps after enough generations have passed such that imperialism and conquest fade into history for much of the world’s population, people simply move on to other concepts of national greatness. In other worlds, maybe South Korea’s appeal is a sign that the world is finally becoming a less martial, nationalistic place.

 

 

그렇다면 이것이 "문화적 매력은 제국의 기량에서 비롯된다"는 이론이 틀렸다는 것을 의미합니까? 아마! 또 다른 가능성은 지금보다 더 옳은 데 사용되었다는 것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과 핵무기의 출현 이후, 고정된 국제 국경의 규범은 대체로 받아들여지고 확고해졌다. 정복은 여전히 일어나지만 지금은 드물고 눈살을 찌푸리며, 최근 수십 년 동안 새로운 제국이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제국주의와 정복이 세계 인구의 대부분에 대한 역사로 사라지도록 충분한 세대가 통과한 후, 사람들은 단순히 국가 위대함의 다른 개념으로 이동합니다. 다른 세계에서는 한국의 매력이 마침내 덜 격투기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장소가 되고 있다는 신호일 지도 모릅니다.

 

Can government sell culture?

정부가 문화를 판매할 수 있습니까?

The next question is: How does a country become a cultural superpower? There are obvious advantages to becoming one — export revenue, of course, but also international “soft power”. But intentionally becoming one seems like a very hard thing to do — harder than auto exports, electronics exports, etc.

 

다음 질문은 국가가 어떻게 문화적 초강대국이 되는가 하는 것입니다. 물론 수출 수익뿐만 아니라 국제 "소프트 파워"가 되는 데는 분명한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의도적으로 하나가 되는 것은 자동차 수출, 전자 제품 수출 등보다 더 어려운 - 할 수 있는 매우 어려운 일처럼 보인다.

 

This can easily be seen by looking at Japan’s experience. If you don’t know about the history of Japan’s cultural industries, check out the book Pure Invention by Matt Alt. Japan is undeniably a cultural superpower — its cartoons, video games, and fashion are a global touchstone for untold millions. Japanese creators are among the most creative and original in the world, and Japanese style is so distinctive and appealing that it has spawned whole subcultures.

And yet this success was entirely bottom-up.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get involved about 10 years ago, with a program called the “Cool Japan Strategy”, it failed pretty spectacularly. The government ended up mostly just shoveling money at a few big advertising agencies (especially Dentsu); these agencies had very little idea how to sell Japanese cultural products overseas. Everyone loved Japanese stuff, but the country was having trouble making money off of this love. People in other countries pirated anime, aped Japanese fashion, and threw their own cosplay conventions. Except for Nintendo and a few other video game makers, creators in Japan were not getting paid what they deserved.

 

 

이는 일본의 경험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일본의 문화 산업의 역사를 모른다면, 매트 알트의 "순수 발명품"이라는 책을 확인해 보세요. 일본은 의심할 여지없이 문화적 초강대국이다. 일본의 만화, 비디오 게임, 패션은 셀 수 없는 수백만 명의 세계적인 시금석이다. 일본 크리에이터들은 세계에서 가장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존재들 중 하나이며, 일본 스타일은 매우 독특하고 매력적이어서 전체 하위문화를 탄생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성공은 완전히 상향식이었다. 약 10년 전 일본 정부가 '쿨 재팬 전략'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개입하려 했을 때, 꽤 화려하게 실패했다. 정부는 몇몇 대형 광고회사(특히 덴츠)에서 돈을 긁어모으는 데 그쳤고, 이들 광고회사들은 일본 문화 상품을 해외에 판매하는 방법을 거의 알지 못했다. 모든 사람들이 일본 물건을 좋아했지만, 그 나라는 이 사랑으로 돈을 버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른 나라의 사람들은 애니메이션을 불법 복제하고, 일본 패션을 모방하고, 그들만의 코스프레 대회를 열었다. 닌텐도와 몇몇 다른 비디오 게임 제작자들을 제외하고, 일본의 크리에이터들은 마땅히 받아야 할 보수를 받지 못하고 있었다.

 

Then Netflix stepped in, and succeeded where Dentsu had failed. It made deals with Japanese animation studios and sold their products overseas. This meant that Japanese studios were finally getting paid by their overseas fans:

 

 

그때 넷플릭스가 개입해 덴츠가 실패했던 부분에 성공했다. 그것은 일본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와 거래를 했고 그들의 제품을 해외에 팔았다. 이것은 일본 스튜디오가 마침내 해외 팬들에게 돈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했다.

 

 

 

Meanwhile, cheap translation allowed manga (comics) to become a big export business as well. And with the global success of Uniqlo, Japan is finally starting to monetize its fashion prowess as well. (Hopefully some Japanese brands will figure out how to take the high end of the market away from their tired, worn-out French and Italian rivals.)

But the Japanese government did manage to capitalize on the country’s cultural superpower in one big, important way: Tourism. People who love Japanese cultural products, or the Japanese aesthetic in general, often want to go to visit the country, and this is big business. An early 2010s initiative to promote more tourism ended up succeeding beyond the government’s wildest expectations:

 

 

한편, 값싼 번역은 만화(코믹)가 큰 수출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리고 유니클로의 세계적인 성공과 함께, 일본도 마침내 패션의 위용을 수익화하기 시작했다.(일부 일본 브랜드가 피곤하고 낡은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라이벌로부터 시장의 최고점을 어떻게 빼앗는지 알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일본의 문화적 초강대국을 크고 중요한 한 가지 방법으로 이용했다. 관광업 일본 문화상품, 즉 일반적으로 일본 미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종종 그 나라를 방문하고 싶어 하는데, 이는 큰 사업이다. 더 많은 관광을 장려하기 위한 2010년대 초의 계획은 정부의 가장 엉뚱한 예상을 뛰어넘는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Covid killed this boom, of course, but it’ll be back eventually.

 

물론 코비드는 이 붐을 죽였지만, 결국 돌아올 것이다.

So how can a country sell its culture?

그렇다면 국가는 어떻게 문화를 판매할 수 있을까요?

 

The success of Korea, and the belated success of Japan, offer some clues about how a country can make money off of its cultural appeal. Here are some rules of thumb:

 

 

한국의 성공과 일본의 뒤늦은 성공은 한 나라가 문화적 매력으로 어떻게 돈을 벌 수 있는지에 대한 몇 가지 단서를 제공한다. 다음은 몇 가지 경험적 규칙입니다.

 

1) Be confident. When I went to interview an executive at Japanese publisher Kodansha in 2015, he told me that his company didn’t try to do more overseas sales because Americans aren’t interested in depictions of Asian people. The success of Netflix anime, translated manga, Squid Game, and Parasite have obviously proven that thesis very very wrong. And outside of America, the success of romantic K-dramas proves it even more wrong. In order to make overseas sales, you need the confidence to believe that foreigners will like what you make.

 

1) 자신감을 가져라 2015년 일본 출판사 코단샤의 한 임원을 인터뷰하러 갔을 때, 그는 미국인들이 동양인에 대한 묘사에 관심이 없기 때문에 그의 회사가 해외 판매를 더 하려고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번역 만화, 오징어 게임, 기생충의 성공은 분명히 그 논문이 매우 잘못되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리고 미국 외 지역에서 로맨틱한 한국 드라마의 성공은 그것이 훨씬 더 잘못되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해외 판매를 하기 위해서는 외국인이 당신이 만드는 것을 좋아할 것이라는 자신감이 필요하다.

 

2) Be corporate. People love reggae, but it took music labels to monetize that. And people love Japanese street fashion, but it took Uniqlo’s plain, mass-market styles to actually rake in the dollars. Indie creators often generate cultural appeal, but corporations are the key actors who capitalize on that. So make sure to set up your intellectual property laws to allow corporations to make money, while not cracking down on or stifling the indie creators who generate the real creativity.

 

2) 기업이 돼라. 사람들은 레게를 좋아하지만, 그것을 수익화하기 위해 음악 레이블들이 필요했다. 그리고 사람들은 일본 거리 패션을 좋아하지만, 실제로 달러를 벌기 위해서는 유니클로의 평범한 대중 시장 스타일이 필요했다. 인디 크리에이터들은 종종 문화적 매력을 발생시키지만, 기업은 그것을 활용하는 핵심 행위자들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창의력을 만들어내는 인디 크리에이터들을 단속하거나 억압하지 않으면서 기업이 돈을 벌 수 있도록 지적 재산법을 마련해야 한다.

 

3) Segment products for foreign consumption. Netflix is commissioning anime with slightly different themes and animation styles than the stuff that Japanese studios produce for their domestic market. Americans and Indonesians and Brazilians love Japanese stuff, but maybe not quite the exact kind of Japanese stuff that Japanese people love. The solution is to produce some products aimed specifically at foreign audiences. The K-pop industry has done this wonderfully well, with bands like Blackpink aimed more at American sensibilities, and others like Twice that tend to appeal more to Japanese audiences.

 

3) 외국 소비를 위한 세그먼트 제품. 넷플릭스는 일본 스튜디오가 자국 시장을 겨냥해 제작하는 작품과는 테마와 애니메이션 스타일이 조금씩 다른 애니메이션을 의뢰하고 있다. 미국인, 인도네시아인, 브라질 사람들은 일본 물건을 좋아하지만, 일본 사람들이 좋아하는 일본 물건의 정확한 종류는 아닐지도 모른다. 해결책은 특별히 외국인 관객을 겨냥한 일부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블랙핑크와 같은 밴드들은 미국적인 감성을 더 겨냥하고, 트와이스와 같은 밴드들은 일본 관객들에게 더 어필하는 경향이 있는 등 K-pop 산업은 이를 놀랍도록 잘 해냈다.

 

4) Lean into your strengths. Japanese music hasn’t caught on like K-pop, and Korean video games haven’t caught on like Nintendo. Japanese movies haven’t caught on like Hollywood, and American cartoons haven’t caught on like anime. And that’s OK! A cultural superpower doesn’t have to dominate every market segment. Figure out what kinds of cultural products foreigners are into, and then monetize those segments.

 

4) 당신의 강점에 기대어. 일본 음악은 K팝처럼 인기를 끌지 못했고, 한국 비디오 게임은 닌텐도처럼 인기를 끌지 못했습니다. 일본 영화는 할리우드처럼 인기를 끌지 못했고, 미국 만화는 애니메이션처럼 인기를 끌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괜찮습니다! 문화 초강대국이 모든 시장 부문을 지배할 필요는 없습니다. 외국인이 어떤 문화상품에 들어있는지 파악한 다음 이러한 세그먼트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5) Use tourism. Europe, America, and Japan’s success in raking in tourism dollars — which Korea has started to emulate somewhat — shows one big way that cultural appeal can be monetized. Invade the world (with your cultural products), then invite the world.

Today, people love South Korean dramas and music and cosmetics. Tomorrow they might love Filipino animation, Vietnamese techno music, Latin American dramas, Indonesian R&B, Polish video games, Nigerian movies, or things I haven’t even heard of yet. The age of empire is over, and the age of cultural empire has begun. Don’t know about you, but to me that feels like a win for Planet Earth and the whole human family.

 

5) 관광을 이용하십시오. 한국이 어느 정도 모방하기 시작한 유럽, 미국, 일본이 관광 달러를 긁어모으는 데 성공한 것은 문화적 매력이 수익화될 수 있는 하나의 큰 방법을 보여준다. 당신의 문화 상품으로 세계를 침략하고, 세계를 초대하세요.

오늘날 사람들은 한국 드라마와 음악, 화장품을 좋아합니다. 내일 그들은 필리핀 애니메이션, 베트남 테크노 음악, 중남미 드라마, 인도네시아 R&B, 폴란드 비디오 게임, 나이지리아 영화 또는 내가 아직 들어보지 못한 것들을 좋아할지도 모른다. 제국의 시대는 끝났고, 문화 제국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당신에 대해 알지 못하지만, 나에게 는 행성 지구와 온 인간 가족을 위한 승리처럼 느껴집니다.

 

 

------------------------------------------------------------------------------------------------------------------------------

 

이 칼럼은 , 한국이란 나라는  지난 500년 동안 제국을 갖지 않고( 남의나라를 침략하지 않고 , 남의것을 뺏지않고 )

현대 문화 초강대국이 된 첫 번째 나라들 중 하나라는 것입니다.

 

This column says that Korea has been one of the first countries in the world to become a modern cultural superpower over the past 500 years without having an empire (without invading other countries and stealing others).

 

김구 선생님(1876년 ~ 1949년)  말씀하신 "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 "를 살펴보면 

If you look at the "Korea I Want" that teacher Kim Gu mentioned (1876~1949)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의 부는 우리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힘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도 행복을 주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오, 경제력도 아니다. 자연과학의 힘은 아무리 많아도 좋으나, 인류 전체로 보면 현재의 자연과학만 가지고도 편안히 살아가기에 넉넉하다.

 

"I want our country to be the most beautiful country in the world. I don't want to be the richest country. I was heartbroken by other people's invasion, so I don't want my country to invade others. Our wealth is enough to enrich our lives, and our power is enough to prevent invasion by others. The only thing I want to have endlessly is the power of high culture. This is because the power of culture makes ourselves happy and furthermore gives happiness to others. What mankind lacks now is neither force nor economic power. No matter how much power there is in natural science, it is enough for mankind to live comfortably with only the current natural science.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仁義가 부족하고, 자비가 부족하고, 사랑이 부족한 때문이다. 이 마음만 발달이 되면, 현재의 물질력으로 인류 20억이 다 편안히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인류에게 이 정신을 배양하는 것은 오직 문화의 힘이다. 나는 우리나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되지 말고, 이러한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원이 되고, 목표가 되고, 모범이 되기를 원한다. 그래서 진정한 세계의 평화가 우리나라에서, 우리나라로 말미암아 세계에 실현되기를 원한다."

 

The fundamental reason why mankind is unhappy in the present is the lack of righteousness, lack of mercy, and lack of love. Once this mind is developed, all 2 billion humans will be able to live comfortably with the current material power. It is only the power of culture that cultivates this spirit for mankind. I want our country not to be a country that imitates others, but to be the source, goal, and model of this high and new culture. So, I want true world peace to be realized in the world from Korea to Korea."

 

남의나라를 침략하지 아니했고, 남의것을 모방하지 아니했고,

높은 문화를 지향하는 대한민국이 되었습니다.

 

We did not invade other countries, did not imitate others, and became Korea aiming for a high culture.